단상(斷想) - 일상사에 대한 작은 생각2 반응하기 VS 대응하기, 인생을 능동적으로 사는 방법 어떤 문제에 반응하느냐 대응하느냐에 따라 해결책은 달라질 것입니다. 반응하기는 자동적이며, 단기적이고, 비의식적입니다. 반응은 자동적으로 일어나는 행동이거나 감정입니다. 예를 들어, 무엇인가 예상치 못한 일이 발생했을 때, 우리는 종종 첫 번째로 떠오르는 감정이나 생각으로 반응합니다. 또, 반응은 주로 단기적인 상황에서 일어납니다. 이는 급박하게 느껴지거나 순간적인 감정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마지막으로 반응은 비의식적입니다. 대부분의 반응은 심리적 또는 물리적 환경에 기반한 우리의 조건화된 행동이나 감정입니다. 대응하기는 어떨까요? 대응은 의도적이고, 장기적이며, 의식적입니다. 대응은 조금 더 의식적이고 계획적입니다. 문제나 도전 앞에서 어떻게 행동할 것인지를 고려하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또, 대.. 2023. 8. 14. 인문학을 배워야 하는 이유 인문학이 위기라는 이야기는 2000년대 이후 항상 나왔지만, AI 시대에 진입하게 되면서 인문학 무용론까지 나오는 거 같습니다. 텍스트를 만드는 ChatGPT, 그림을 만드는 미드저니 등의 생성형 AI는 새로운 것, 즉 창조를 할 수 있을까요? 창조와 변형은 얼마나 다를까요? 현재까지 생성형 AI가 산출해내는 결과물은 선학습한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사용자의 입력에 맞게 반응한 결과입니다. 이미 존재하는 정보를 조합하거나 변형한 것에 불과합니다. 너무나 많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서 조합을 하기 때문에 새롭게 보일 뿐입니다. AI의 결과물은 우리에게 익숙하지 않을 뿐 창조가 아닙니다.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이지만, AI는 엄청난 조합을 통해 수없이 많은 모방을 인간에게 보여줄 뿐입니다. 그 모방이 인간에게.. 2023. 8. 7. 이전 1 다음